일상 속 자원을 새로운 예술 재료로
일상에서 쉽게 버려지는 물건들은 사실 아이들의 눈높이에서 보면 특별한 미술 재료가 될 수 있다. 박스테이프와 버려진 천은 단순히 포장이나 폐기물로 취급되기 쉽지만, 창의적인 손길을 만나면 새로운 조형물이 된다. 유아 교육에서 중요한 것은 정해진 틀 안에서 완성도를 높이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이 스스로 재료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상상력을 확장하는 경험이다. 박스테이프의 끈적임, 투명함, 질감은 아이들에게 독특한 감각적 체험을 제공하며, 버려진 천은 색, 무늬, 촉감이 달라서 하나의 캔버스 역할을 한다. 이런 재료를 교실 안으로 가져오면 아이들은 “버려진 것에도 쓰임이 있다”는 깨달음을 자연스럽게 배우고, 환경을 존중하는 제로웨이스트 감수성까지 키울 수 있다.

박스테이프로 만드는 ‘공간 드로잉’
박스테이프는 단순히 붙이는 도구가 아니라, **공간을 새롭게 정의하는 선(Line)**으로 활용할 수 있다. 아이들과 함께 교실 바닥이나 벽에 테이프를 붙여 큰 선을 그리고, 그 안을 ‘길’, ‘호수’, ‘집’으로 상상하며 놀이를 확장한다. 예를 들어 교실 바닥에 원형으로 테이프를 붙이면 그 안은 ‘연못’이 되고, 아이들은 물고기나 개구리가 되어 뛰어놀 수 있다. 또 직선과 곡선을 자유롭게 연결해 미로를 만들고, 친구와 함께 빠져나가는 활동을 하면서 협동심과 문제 해결력을 동시에 기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아이들은 “그리기”를 종이 위가 아닌 공간 전체로 확장하는 경험을 하며, 예술적 시야가 넓어진다. 단순히 완성품을 남기는 것이 아니라, 순간의 움직임과 협동 자체가 작품이 되는 것이다. 이는 유아들에게 미술이 정적인 활동이 아니라 몸과 공간이 함께하는 살아 있는 창작임을 느끼게 해준다.
버려진 천으로 만드는 ‘이야기 패치워크’
버려진 천은 색감과 질감이 달라서 아이들에게 무궁무진한 상상거리를 준다. 작은 천 조각을 모아 하나의 패치워크 작품을 만들되, 단순한 장식이 아니라 이야기가 담긴 그림으로 확장한다. 예를 들어 아이들이 각자 천 조각을 하나씩 선택해 “내 천 조각은 햇살” “내 천 조각은 파도”라고 이름 붙이면, 이 조각들이 모여 하나의 커다란 풍경화가 된다. 완성된 작품은 ‘우리 반 이야기 벽화’가 되어 교실에 걸리고, 아이들은 자신이 만든 일부가 전체 속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경험한다. 또 천 조각에 직접 그림을 그리거나 글자를 적어 이어 붙이면, 하나의 스토리북처럼 완성할 수도 있다. 이 활동은 버려진 자원이 새 생명을 얻는 경험을 통해 지속가능성 교육을 실천할 뿐 아니라, 아이들이 협동과 서사적 사고를 동시에 배우는 창의 프로젝트가 된다.
교사와 부모의 지도, 그리고 확장 활동
박스테이프와 버려진 천을 활용한 미술 놀이는 교사와 부모의 태도에 따라 의미가 깊어진다. 교사는 아이들이 재료를 단순히 붙이거나 자르는 데 그치지 않고, **“이 재료가 어떤 이야기를 담고 있지?”**라는 질문을 던져 사고를 확장시켜야 한다. 부모는 집에서 쓰고 남은 천이나 테이프를 모아 아이와 함께 작은 작품을 만들며, “우리가 쓰레기를 줄여서 새로운 걸 만들었어”라고 설명하면 아이는 환경 실천의 가치를 이해하게 된다. 나아가 이 프로젝트는 단순한 미술 수업을 넘어, 아이들의 작품을 모아 전시회를 열거나 지역사회 행사에 소개하는 방식으로 확장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아이들은 자신들의 작은 활동이 사회와 연결될 수 있다는 성취감을 느끼게 된다. 결국, 박스테이프와 버려진 천은 쓰레기에서 예술로, 더 나아가 환경 교육에서 공동체 참여로 이어지는 가교 역할을 한다. 이는 단순한 만들기를 넘어, 유아의 정서 발달과 생태 감수성 형성에 깊이 기여하는 특별한 놀이가 된다.
'유아교육과 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왜?에서 시작하는 호기심 리터러시 – 유아교육에서 미래를 창조하는 힘 (0) | 2025.09.07 |
|---|---|
| 조부모와 함께하는 세대통합 유아 놀이 프로젝트 (0) | 2025.09.05 |
| 음악 × 언어 융합: 직접 만든 ‘의성어 노래 만들기’ (0) | 2025.09.04 |
| “가을 낙엽 순환 놀이터: 떨어진 잎에서 배우는 생태 감수성” (0) | 2025.09.03 |
| 식물 생장 관찰 놀이: 씨앗부터 열매까지 (4) | 2025.09.01 |
| 제로웨이스트 유아 미술 놀이: 환경과 창의성 함께 (4) | 2025.08.31 |
| 우리 마을 생태계 탐방 일기: 도시 유아를 위한 가이드 (0) | 2025.08.30 |
| 마음챙김 유아 요가와 감정 조절의 관계 (4) | 2025.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