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아교육과 놀이

🍀 가족이 함께 만드는 집 속 배움— 계절과 명절을 담은 집 놀이 활동 12가지

🌸 1. 봄 — ‘새싹처럼 시작하는 놀이’

🌿 (1) 봄 냄새 관찰 병 만들기

작은 병에 봄 향기를 담아요. 풀잎, 꽃잎, 흙, 레몬껍질을 함께 넣고 냄새를 맡으며 “어떤 냄새가 봄 같을까?” 이야기 나눕니다.

  • 교육 포인트: 감각 탐색 + 어휘 확장 (“상큼해요”, “흙냄새가 나요”)
  • 확장 놀이: 냄새를 이름 붙이기 (“봄바람 향수”, “우리집 봄향기”)

🌼 (2) 씨앗 관찰 다이어리

휴지심 컵에 콩이나 강낭콩을 심고 매일 기록합니다.

  • 교사 조언: “씨앗이 자라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질문으로 과학적 사고를 유도.
  • 가정 연계: 성장 사진을 모아 ‘우리집 봄 식물 일지’로 엮기.

가족이 함께 만드는 집 속 배움— 계절과 명절을 담은 집 놀이 활동 12가지

☀️ 2. 여름 — ‘물과 빛의 과학 놀이’

💧 (3) 색깔 물 실험 주방

컵 3개에 색소를 섞고 빨대를 이용해 색을 섞어보세요.

  • 핵심 배움: 관찰·예측·결과 비교 (STEAM 놀이)
  • 부모 팁: “어떤 색이 더 진할까?” “색이 섞이면 어떤 기분이 들어?” 감정 연계 대화 추가.

🌈 (4) 그림자 인형극

여름 햇살을 이용해 창문 커튼에 손 그림자를 비추며 인형극을 합니다.

  • 준비물: 커튼, 손전등, 종이 모양 오려붙인 막대
  • 교육 효과: 언어 표현력 + 협동 + 스토리 구성
  • 확장: “여름 해님이 놀러왔어요!” 같은 자작 이야기 꾸미기

🍨 (5) 얼음 아트 스튜디오

물감 섞은 얼음을 얼려서 색이 녹는 모습을 종이에 표현합니다.

  • 과학 개념: 고체→액체 변화
  • 부모 역할: “얼음이 녹으면서 어떤 색이 만들어졌을까?” 대화로 탐구 확장

🍁 3. 가을 — ‘풍요와 감사의 계절’

🌾 (6) 가을 장터놀이 (집 안 미니 마켓)

부엌 물건, 장난감, 과일을 활용해 가족 장터를 엽니다.

  • 역할 구성: 부모는 손님, 아이는 상인
  • 학습 연결: 수 개념, 화폐 이해, 의사소통
  • TIP: 가격표 만들기(숫자 익히기), 손님 인사 연습

🍂 (7) 낙엽 엽서 만들기

주말 산책 후 낙엽을 모아 하트, 별, 나비 등 다양한 모양으로 엽서를 꾸밉니다.

  • 교육 의미: 자연 관찰 + 예술 표현
  • 가정 연계: “고마운 사람에게 엽서 보내기” → 인성 교육과 연결

🎑 (8) 추석 ‘달빛 그림책극장’

추석 전날, 온 가족이 모여 달 모양 조명 아래서 그림책을 함께 읽어요.

  • 추천 도서: 《달님 안녕》(안도현), 《보름달 아기》(이수지)
  • 활동: 달 모양 카드에 소원 적기 → 가족이 서로 읽어주기
  • 교사 팁: 명절의 의미를 “감사와 나눔의 시간”으로 재해석해 주세요.

❄️ 4. 겨울 — ‘따뜻한 마음을 나누는 실내 놀이’

☃️ (9) 눈 없는 눈사람 만들기

하얀 양말 속에 쌀·소금을 넣고 묶어 눈사람을 만듭니다.

  • 소근육 발달 + 창의력 향상
  • 확장: 가족별 눈사람 캐릭터 만들어 이름 붙이기 (“엄마눈이”, “꾸리눈이”)

🕯 (10) 불빛 실험 – 빛이 투명할까?

플라스틱컵·유리컵·종이컵 안에 손전등 빛을 비춰 비교합니다.

  • 과학 개념: 투명·불투명 물체 이해
  • 부모 대화: “왜 유리컵은 안이 보이고 종이컵은 안 보일까?”

🎁 (11) 연말 감사편지 카드

12월엔 가족이 서로에게 손편지를 써요.

  • 교사 제안: “올해 내가 가장 감사했던 순간”을 주제로 글쓰기
  • 효과: 자기 성찰 + 언어 표현 + 가족 유대 강화

🎎 5. 명절·가족 기념일 — ‘세대를 잇는 문화 놀이’

🎏 (12) 우리집 전통놀이 한마당

명절이나 생신 때 온 가족이 모여 전통놀이를 즐깁니다.

  • 추천 놀이: 윷놀이·공기놀이·팽이·딱지
  • 응용: 종이컵 윷놀이(종이컵 안에 표시 붙이기) / 스푼딱지 등 창의 변형
  • 가정 확장: 조부모와 함께 “어릴 적 놀이는 어땠어요?” 이야기 나누며 세대 통합 학습

🧺 6. 교사·학부모 협력으로 완성하는 ‘집 놀이 프로젝트’

단순히 “가정 과제”로 끝내지 말고,
교사가 가정과 함께 계획–실행–공유–성찰의 4단계 루틴을 설계하면
가치 있는 ‘가정 연계 교육’으로 발전합니다.

단계                          교사 역할                                    가정 역할                                         예시
계획 주제 제안·놀이 가이드 전달 놀이 준비물 확인 계절 주제 안내지 배포
실행 관찰·사진 기록 안내 놀이 실행·사진 전송 “가족 놀이 인증 주간” 운영
공유 교실 게시판·뉴스레터에 소개 아이와 대화 “이번 놀이에서 가장 즐거웠던 점” 나누기
성찰 아이 반응 분석·다음 계획 반영 가정 피드백 전달 ‘집 놀이 일기장’ 활용

이 과정을 통해 학부모는 “내 아이의 놀이가 배움이 된다”는 사실을 체감하게 됩니다.
그 경험이 교사-가정 간 신뢰의 연결고리가 되죠.

🌷 7. 집 놀이의 진짜 가치

가정에서의 놀이는 단순한 여가 활동이 아닙니다.
가정은 아이가 처음으로 만나는 사회, 그리고 배움의 첫 교실이기 때문입니다.
놀이 속에서 아이는 협력, 표현, 기다림, 관찰 같은 핵심 역량을 자연스럽게 익힙니다.

아이는 ‘놀 때’ 배우고,
부모는 ‘함께 놀 때’ 아이의 마음을 이해합니다.

가정과 유치원이 같은 방향을 바라볼 때,
배움의 리듬은 더욱 안정되고 풍요로워집니다.

📚 참고 및 출처

  • 교육부(2024). 「누리과정 가정연계 활동 가이드」
  • OECD(2025). Starting Strong VI: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e Home Environment
  • UNICEF(2023). Play at Home: Family-based Learning Approach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