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62)
🎭 우리 탈과 소리가 어우러진 융합 프로젝트— 놀이가 예술로 확장되는 우리 문화 기반 STEAM 교육 1️⃣ 전통 속에서 융합을 배우다아이들은 자연스럽게 몸으로 세상을 이해합니다.손으로 만들고, 소리로 느끼며, 움직임으로 표현하는 과정 속에서 유아의 사고력·감정·사회성이 통합적으로 발달하지요.우리나라의 전통 예술, 특히 탈춤과 전통악기는 그 자체가 STEAM 융합 교육의 원형이라 할 수 있습니다.탈의 조형은 ‘공학과 미술(Engineering + Art)’,소리의 울림은 ‘과학과 음악(Science + Art)’,리듬의 규칙은 ‘수학적 사고(Math)’가 담겨 있기 때문이에요.이 프로젝트는 이러한 전통의 예술 요소를 유아의 놀이로 재해석하여 탐색–제작–표현–공연’의 단계로 확장하는 수업입니다. 2️⃣프로젝트 주제“우리 탈 속에 담긴 이야기, 우리 소리로 다시 태어나다”대상: 6~7세 유아기간: 3~4주누..
💧 물방울 하나로 시작하는 과학과 예술의 만남— 감각 기반 STEAM 탐구놀이의 힘 1️⃣ 물방울, 아이의 첫 번째 과학 교과서유치원 교실 한쪽에서 물컵을 뒤집은 아이가 말합니다.“선생님, 물이 도망갔어요!”그 한마디 안에는 과학, 예술, 감정, 언어가 함께 들어 있습니다.유아에게 물방울은 단순한 액체가 아니라, 세상을 탐구하는 첫 번째 과학 교과서이자빛과 색, 형태를 느끼는 예술의 시작점입니다.이처럼 STEA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 Math) 교육의 본질은‘어려운 융합 개념’이 아니라,아이의 감각적 경험을 바탕으로 세상을 다양한 눈으로 바라보게 하는 과정입니다. 2️⃣ 감각 기반 STEAM의 핵심 — “만지고, 느끼고, 생각하게 하기”과학 교육은 흔히 ‘지식 전달’로 오해되지만, 유아에게 과학은 몸의 경험을 언어로 바꾸는 과정입니다.ST..
🌈 기질을 넘어 성향으로— 아이의 강점을 살리는 ‘성향 기반 유아교육’ 1️⃣ “이 아이는 조용하지만 섬세해요”유치원 교사로 일하다 보면 종종 듣게 되는 말입니다.그런데 ‘조용함’만으로 그 아이를 설명할 수 있을까요?어떤 아이는 세심한 관찰자이고, 또 어떤 아이는 내면이 풍부한 상상가일 수 있습니다.이처럼 기질이 아이의 ‘타고난 반응 패턴’이라면,성향은 아이가 세상과 관계 맺는 ‘에너지의 방향’ 입니다.성향을 이해하면 아이를 더 깊이 볼 수 있고,“어떻게 가르칠까?”보다 “무엇을 살려줄까?”에 초점을 맞출 수 있습니다. 2️⃣ 성향 기반 교육이란?‘성향(Strength-based Learning)’은결핍을 보완하기보다 강점을 확장하는 교육 접근법입니다.OECD(2025)와 UNESCO(2024)에서도“유아의 개별 강점과 관심을 토대로 한 맞춤형 배움 설계”를미래 핵심역량 교..
🌱 다르게 반응하는 아이들— 4가지 기질별 맞춤 놀이 지도법 🧩 1. “같은 놀이, 다른 반응”이 보여주는 기질의 세계유치원 교실에서 같은 상황이 주어져도 아이들의 반응은 놀라울 만큼 다릅니다.같은 블록을 보고 한 아이는 쏜살같이 달려가 쌓기 시작하고,다른 아이는 한참을 지켜보다가 겨우 한 조각을 들어 올립니다.이 차이를 단순히 **‘성격’**이라 말하긴 어렵습니다.그보다 깊은, 기질(temperament) 이라는 ‘타고난 반응 패턴’이 작용하기 때문입니다.기질은 선천적인 기초 성향으로,심리학자 토마스와 체스(Thomas & Chess)의 연구에 따르면아이의 행동을 예측하고,교사와 부모가 적절히 반응할 수 있도록 돕는 ‘지도 나침반’이 됩니다. 🌿 2. 유아의 기질, 이렇게 구분할 수 있어요 기질 ..
🍀 가족이 함께 만드는 집 속 배움— 계절과 명절을 담은 집 놀이 활동 12가지 🌸 1. 봄 — ‘새싹처럼 시작하는 놀이’🌿 (1) 봄 냄새 관찰 병 만들기작은 병에 봄 향기를 담아요. 풀잎, 꽃잎, 흙, 레몬껍질을 함께 넣고 냄새를 맡으며 “어떤 냄새가 봄 같을까?” 이야기 나눕니다.교육 포인트: 감각 탐색 + 어휘 확장 (“상큼해요”, “흙냄새가 나요”)확장 놀이: 냄새를 이름 붙이기 (“봄바람 향수”, “우리집 봄향기”)🌼 (2) 씨앗 관찰 다이어리휴지심 컵에 콩이나 강낭콩을 심고 매일 기록합니다.교사 조언: “씨앗이 자라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질문으로 과학적 사고를 유도.가정 연계: 성장 사진을 모아 ‘우리집 봄 식물 일지’로 엮기.☀️ 2. 여름 — ‘물과 빛의 과학 놀이’💧 (3) 색깔 물 실험 주방컵 3개에 색소를 섞고 빨대를 이용해 색을 섞어보세요.핵심 배움:..
🌿 유치원 교사의 하루, 그리고 시간을 다스리는 법— 번아웃 없이 행복하게 일하는 교사 라이프 디자인 가이드 🕊️ 1. 교사의 하루는 ‘계획’보다 ‘리듬’이다유치원 교사의 하루는 시계처럼 흘러가지만,모든 순간이 예측 불가능한 즉흥의 연속이기도 합니다.등원, 놀이 지원, 안전 점검, 학부모 상담, 행정 문서, 사진 업로드까지.그 속에서 교사는 끊임없이 판단하고 반응합니다.그래서 시간 관리의 핵심은 ‘통제’가 아니라 ‘리듬’을 만드는 것입니다.즉, “정해진 시간에 무엇을 하겠다”보다“하루가 어떤 흐름으로 흘러가야 하는가”를 정하는 거예요.🪴 실천 팁:하루의 에너지를 “도입–몰입–정리” 3단계로 구분하고,오전 9~11시를 핵심 몰입 시간대로 설정하세요.이때 관찰, 놀이 지원, 사진 정리를 집중적으로 합니다.‘리듬 유지’의 비결은 루틴화된 준비물입니다.예를 들어, 월요일엔 교재·교구 정리, 화요일엔 관찰 기록,수요..
2025–2026 유아교육 트렌드 10가지와 교실-가정 적용 가이드한눈에 보기 1) 유아교육·보육 통합 거버넌스와 공공성 강화한국은 2025년부터 유아교육과 보육을 아우르는 통합형 시스템을 단계적으로 구축합니다. 목표는 보편적 접근성, 서비스 연속성(0–5세), 지역 격차 완화입니다. 교실 관점에서는 0–2–5세 연계를 전제로 전이(transition) 설계가 중요해집니다. (예: 24–36개월 전이 체크리스트, 5세→초1 유초이음 포트폴리오) english.moe.go.kr현장 팁연령대별로 공통 핵심 경험 목록을 만들고, 전이 시 누락 경험을 보완하는 소그룹 활동을 설계합니다.원아 편람(입·전학 포함)에 가정 루틴/돌봄 정보 항목을 넣어 보육-교육 연속성 자료로 활용.부모 연계“우리 아이 전이 준비 카드(수면·식습관·놀이 선호·감정 신호)”를 가정에서 작성해 등원 첫 주에 공유...
🎌 “우리나라 입고 걷다 – 전통과 미래를 잇는 작은 패션쇼” (유아들이 직접 만드는 한국 테마 런웨이 프로젝트)🌱 1. 콘셉트 정하기 – 아이와 함께 ‘우리나라’ 상징 찾기패션쇼의 시작은 아이들의 질문과 발견에서 출발합니다.교사는 아이들과 함께 우리나라를 떠올리며 브레인스토밍을 합니다.“우리나라 하면 뭐가 생각나?”“한복, 태극기, 한글, 무궁화, 한강, 김치…”아이들이 말한 키워드를 큰 종이에 적고, 이 중에서 패션쇼 의상·소품으로 표현할 아이디어를 고릅니다.예:색 : 태극기 색(빨강·파랑·검정·하양), 오방색모양 : 무궁화 꽃잎, 한옥 지붕 곡선문자 : 한글 자음·모음 패턴소리 : 전통악기 북소리, 아리랑 멜로디✂️ 2. 의상 제작 – 만들면서 배우는 전통아이들은 재활용 재료와 천, 색종이, 부직포 등을 활용해 의상을 직접 꾸밉니다.한복 느낌 살리기 : 색종..